파이프라인 상세

FM701
구분 내용
FM701
  • 4세대 (대사) 항암제
  • 비임상 연구 진행 중
Indication
  •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with LKB1/KRAS Mutation
Unmet Needs
  • LKB1/KRAS Co-Mutation 환자들의 생존률은 낮으며, Anti-PD-1/PD-L1에 대한 저항성이 높음
  • LKB1/KRAS Co-Mutation 환자들 중 MDH 1 / 2 발현이 높을수록 생존률이 낮음
  • LKB1/KRAS Co-Mutation을 타겟으로 한 표적 치료제가 없음
Mechanism of Action

MDH (Malate Dehydrogenase) 1 / 2 이중 억제를 통한 항암효과

  • 암세포 특이적인 에너지 대사를 조절함으로써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
  • LKB1-돌연변이 암세포에 민감하게 작용하여 Apoptosis 유도를 통한 항암 효능
  • HIF-1α 관련 기전 저해를 통한 대사 Reprograming 및 Tumor Environment 조절
  • MDH 저해제와 Anti PD-1/PD-L1 병용 투여를 통한 치료 효과 증대
Efficacy
  • In Vitro: MDH 1/2 활성 저해 효능
  • In Vitro: 호흡 억제 / AMPK 활성화 / ATP 억제 효능
  • In Vitro: 세포 내 산소 양 증가 / HIF-1 분해 증가 효능
  • In Vivo: 동물모델에서의 항종양 효능
Market
  • 연 평균 성장률(CAGR): 12.1 %
  • 전세계 비소세포성폐암 시장 규모: 446억 달러 by 2027
Indication 비소세포폐암

폐암은 조직형에 따라 크게 소세포성 폐암과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구분합니다. 비소세포성 폐암의 종류에는 폐의 선암, 편평상피세포암, 대세포암 등이 있습니다.

비소세포성 폐암은 소세포폐암에 비해 비교적 성장 속도가 느리고 주변 조직으로 퍼진 이후에 전신으로 전이됩니다. 초기에는 수술을 통해 완치할 수 있습니다. 수술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지만, 폐암 환자의 1/4 이하에서만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Unmet Needs

비소세포성 폐암 중 돌연변이에 따른 악성 종양 발생 시, 표준 치료제에 대한 내약성 또는 미반응을 보입니다.

낮은 생존율을 유발하는 변이중 표준치료제에 대한 미반응을 보이는 대표적인 예시는 KRAS 변이 암종이 있으며, 이중 KRAS 변이와 LKB1이 동시에 발현되는 경우는 약 7~14% 정도입니다.

KRAS/LKB1 동시 발현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는 기본적으로 표준 항암 치료제에 불응하며, 면역항암제 투여에도 큰 효과를 보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을 치료할 수 있는 항암제 개발의 수요가 높습니다.

Mechanism of Action

  • - MDH1 활성 억제
    • NAD+ 생성 억제로 NADH 미토콘드리아 유입 감소,지방산 합성 억제, 글루타민 대사 영향, NADPH 감소
  • - MDH2 활성 억제
    • NADH 생성 및 OXPHOS 저해로 ATP 생성억제
  • - MAS 활성 억제
    • NADH 미토콘드리아 유입 억제로 호흡 억제로 ATP 생성 억제
    • MDH1/2 동시 저해로 암세포 내 ATP 및 NADPH 감소 현상

LKB1 돌연변이와 대사 취약성 증가

  • KRAS/LKB1 변이 발생 시, 대사에 의한 스트레스에 취약해진다는 사실이 보고됨
  • MDH 1/2 의 발현 정도와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의 생존율 연관 높음
  • FM701 은 MDH1/2 를 동시에 억제하여 대사성 스트레스에 취약한 KRAS/LKB1 변이 암종 억제